​​ 토종 민물 고기 정보 '메기'

토종 민물 고기 정보 '메기'

1. 어종 정보

검은 빛깔의 메기는 쏘가리와 함께 낚시인들이 매우 선호하는 어종으로 메기목 메깃과의 민물고기이다. 몸길이 30~100cm가량이며, 자신보다 작은 대부분의 수중동물을 잡아먹는다.
몸은 길고 원통형에 가깝다. 그러나 머리는 위아래로 납작하고 몸통의 뒤쪽은 옆으로 납작하다. 몸에는 비늘이 없다. 입은 주둥이의 끝에 있으며 좌우로 길게 찢어졌으며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다. 
입수염은 두 쌍인데 한 쌍은 콧구멍의 앞쪽 옆에 달리고 길어서 뒤로 젖혀 누이면 가슴지느러미에 닿는다. 다른 한 쌍은 아래턱에 달려 있고 짧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외국의 누런색이 강한 거대한 메기보다는 적당한 크기에 검은빛이 도는 산 메기가 많다.

 


눈은 작고 머리의 양쪽 가운데 부분보다 훨씬 앞에 있으며 두 눈 사이가 매우 넓다. 아가미갈퀴는 굵고 짧다. 옆줄은 뚜렷이 드러나고 몸의 양쪽 중앙부를 곧게 달린다. 가슴지느러미 가시는 굵고 짧으며, 바깥쪽에는 한 줄의 톱니가 있고 안쪽은 거칠지만 톱니는 없다. 등지느러미는 작고 뾰족하여 살은 4, 5개이고 가장 긴 살의 길이는 눈 지름의 3, 4배이다. 뒷지느러미는 매우 길어서 몸길이의 거의 반쯤 되고 뒤쪽 끝은 꼬리지느러미와 연결된다. 
꼬리지느러미는 비교적 작고 윗 조각이 아래 조각보다 좀 긴 편이다. 배지느러미는 뒷지느러미에 근접해 있지만 가슴지느러미보다 짧다. 

몸의 양쪽 옆면 등 쪽은 짙은 갈색에서 황갈색에 이르기까지 변화가 심하다. 온몸이 황금색이거나 불규칙한 구름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는 경우도 있다.  각 지느러미는 몸의 색깔과 거의 같은 경우가 많지만 오히려 연한 경우도 적지 않다. 

물살이 느리고 바닥에 해감이 깔려 있는 하천이나 호수, 늪에서 산다. 수질 오염에 견디는 힘이 매우 강하다. 낮에는 바닥이나 돌 밑에 숨어 있고 밤에 주로 활동한다. 내린천변 전지역에 서식한다. 육식성으로서 어린 물고기를 비롯하여 거의 모든 종류의 수중 동물을 잡아먹는다. 
알을 낳는 시기는 5∼7월이고 청록색의 알을 물풀에 붙이거나 바닥에 낳는다. 때로는 자갈에 붙이기도 한다. 
수정된 알은 수온 17∼24℃에서 8∼10일이 지나면 부화하고 갓 부화한 새끼의 몸 길이는 3.5∼4.3밀리미터에 이르며 입수염을 세 쌍 갖는다. 부화한 지 3∼5개월이 지나면 60∼70밀리미터가 되고 입수염 세 쌍 가운데 아래턱에 있는 한 쌍은 완전히 없어지고 두 쌍 만 남는다. 이 때는 이미 친어와 거의 같은 형질을 갖추게 된다. 

만 1년이면 100∼120밀리미터, 2년이면 200∼300밀리미터까지, 600밀리미터 넘게 자라는 데는 적어도 4년 이상 걸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2. 분포 
내린천의 어느지역이든 밤낚시로 많이 올라오는 어종이다. 길이도 다양해서 릴낚시를 할 땐 힘센 놈에 의해 낚싯대가 부러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내린천 중류부터 상류까지 300밀리미터짜리들이 많아 장어로 착각을 할때도 많다. 
서해와 남해로 흐르는 각 하천에 두루 분포할 뿐만 아니라 북한, 중국, 일본, 러시아에도 분포한다. 양식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을 만큼 중요한 식용어이다. 

3. 낚시방법 
먹이는 잡식성을 띠고 있는데, 동물성 미끼를 주로 사용하여 낚는다. 
메기낚시는 장마뒤 물이 다소 흐린 곳에서 잘되며 여러 개의 낚싯바늘을 매달아 낚시하는 연승식 낚싯바늘을 많은 쓰는데, 지렁이, 미꾸라지, 개구리를 미끼로 저녁에 웅덩이에 넣어두고 새벽녘 해뜨기 전에 낚시를 거둬들이면 뱀장어, 자라 등과 함께 낚이기도 한다. 
또 플러그나 스픈루어를 이용, 릴낚시로 낚을 수 있다. 
내린천 지역에서는 주로 지렁이를 낚싯밥으로 많이 이용한다.
강원도 인제 지역 현지인들이 주로 사용했던 방법으로 1미터가량의 나무 끝에 짧은 낚싯줄과 바늘만 달아 지렁이를 미끼로 사용해 큰 돌틈이나 자갈 무덤의 구멍 속으로 끼워 두었다가 어신이 보이면 나무를 당겨 메기를 낚는 전통방식으로 많이 잡힙니다.


4. 요리법 
메기는 매운탕이 최고다. 내린천의 민물고기 매운탕에는 쏘가리와 함께 메기를 넣지 않고서는 제맛을 낼 수 없을 정도로 메기는 매운탕 맛이 좋다. 또 소금이나 간장을 발라 구워도 맛이 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