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 민물 고기 정보 '버들치'
- 민물고기 및 민물낚시
- 2020. 10. 4.
1. 어종 정보
버들치는 1 급수의 지표종인 토종 민물고기로, 넓은 하천과 호소에 서식하나 좁은 산골짜기 계류를 좋아한다.
버들치의 본종은 버들개와 비슷하나 비늘이 비교적 큰 편이다. 서식장소는 버들개와 같은 산간 계곡으로 행동이 활발하다.
갑각류, 곤충류, 작은 동물, 식물의 싹이나 가지, 종자, 규조류, 녹조류, 유기물 등을 먹고 자란다. 성장도는 1년에 25~35mm, 2년이면 80~10mm, 3년에 120~140mm 내외로 성장하며, 성어는 전장 200mm에 달한다.
버들치는 주둥이가 길며 위턱 끝에서 전방에 돌출된 육질 돌기가 있고, 눈이 비교적 작은 점(머리 길이는 눈 지름의 6.5배)등이 다른 종과의 차이점이다.
몸빛은 지저분한 황갈색 바탕에 등쪽은 암갈색 배 쪽은 담색으로 몸 한가운데에는 윤곽이 뚜렷하지 않은 폭이 넓은 암갈색의 세로 띠가 있고 앞쪽은 담색이나 뒷부분이 진하다.
이 세로띠의 밝기는 일반적으로 버들개보다 연하다. 옆구리에는 짙은 갈색의 비늘 모양이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어 버들치의 특유한 색채를 이루고 있다.
꼬리지느러미 아래쪽 중앙의 지느러미를 싸고있는 피부 뒤끝 언저리에는 아래위를 이은 검은 반점들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버들개보다 연하다.
2. 분포
내린천의 중류부터 상류 사이에 서식하고 있으며, 강원도 인제군 현리쪽의 방태천 하추리 계곡 등 대개 급류가 아닌 물 흐름이 완만하거나 정지된 상태의 얕은 웅덩이에서 낚인다.
3. 낚시방법
버들개가 서식하는 대부분의 계곡이 폭이 좁고 수목이 우거져 있어 긴 낚싯대는 사용하기 불편하다. 대개 1.8~2.7m의 짧은 민 낚싯대에 원줄 1호 망상어 바늘 3~4호를 쓴다.
바늘 위 15~20cm 거리에 편납이나 부표(색깔이 선명한 것)를 달아 수심을 측정한 후 찌 높이를 조정한다. 미끼는 현장에서 잡은 곤충이나 물벌레가 최상이나 그렇지 못할 경우엔 지렁이, 구더기, 또는 털바늘도 가능하다.
4. 요리법
보통 매운탕이나 어죽을 끓여 먹는다. 호불호가 있는 어종으로 맛이 없어 관상용이 대부분이나 주로 겨울철의 매운탕용 잡어로 호평받기도 한다.
그러나 대체적으로 낚시의 대상어로보다 관상어로도 많이 사용되는 편이다.
'민물고기 및 민물낚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종 민물 고기 정보 '쏘가리' (0) | 2020.10.04 |
---|---|
토종 민물 고기 정보 '빠가사리' (0) | 2020.10.04 |
토종 민물 고기 정보 '모래 무지' (0) | 2020.10.04 |
토종 민물 고기 정보 '메기' (0) | 2020.10.04 |
토종 민물고기 정보 '누치(눈치)' (0) | 2020.10.04 |